예전에 오피스 케이드를 시작 했 을때, 제일 먼저 가져온 기계가 이니셜 D 아케이드 3 1조였다.
그 당일에도 설치하면서 1조를 멀티플레이 할 수 있게 묶느라 개 고생했던걸 기억하는데, 이제는 카드 리더기가 사용하고 싶어서 initial D Arcade 3 전용 정품 공 카드를 구했다.
다만, 아쉽게도 내가 가져온 장비는 Card Reader가 고장이 난 상황이다.

그래서 어쩔 수 없지만, 오리지널 Magnetic Card는 사용하기 어렵고, 다른 장비(Python이 동작 가능한 장비, ex: RPI, Windows,macOS etc..) 를 사용하여, 에뮬레이팅을 해보기로 했다.
다행히도(?) 외국 포럼을 뒤져보니 WIPI-Netbooter가 있어, 시도를 해보았지만 실패하였다.
먼저 Hardware의 회로도를 보면,

NAOMI 2 기판의 CN8 커넥터에서 CARD R/W UNIT으로 들어가는 선이 있다. 저 부분이 ASSY CASE (Filterboard) 에서 CARD Reader로 연결되는 부분의 회로도 이다.
눈치 빠르신 분은 눈치 채셨겠지만, RXD,TXD,GND,RTS,CTS를 보는 순간 Serial이 떠오를 것이다.
그렇다.
Card R/W Module <-> Filter Board는 Serial 통신을 하고 있던 것 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럼 실제로 해당 Connector 가 있는 Filter Board를 보자.

CN8 커넥터에 RS422이라고 써 있는 것이 확인되어 확실하게 Serial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해당 인터페이스를 연결 할 방법을 찾아봐야 하지만, 회로도를 보니 핀 번호로 유추하여 FTDI(FT232)로 먼저 연결을 하였다.

위와 같이 PIN 1번부터
PIN1 (RXD)
PIN2 (TXD)
PIN3(GND)
PIN4(RTS)
PIN5(CTS)
위 순으로 핀이 연결되어있어, FTDI Breakout 보드에 연결하여, 해당 Value를 Reading 해 보았지만, Data의 length는 맞지만, 모든 Read된 Value가 00 00과 같이 전부 00으로 발생한다.
글을 쓰면서 생각해 보니까 RS232를 FTDI Break Out에서 사용하려면,

빨간 원 안에 있는 것 처럼 RS232 Level Converter 가 중간에 필요로하다.
확인 해보니까, FT232R에서 사용하는 Voltage는 5V이지만, RS232에서는 12V를 사용한다.
MAX232를 이용하면 될 것 같지만, 귀찮아서 RS232 TO USB케이블을 이용하는게 더 빠를것 으로 보아, USB TO RS232케이블을 구매하였다.
먼저 구매한 것은 NEXI사의 RS232 TO USB 케이블을 구매하였다.

해당 제품을 구매하여 테스트를 하였으나, Raspberry PI에서는 Data Length가 제대로 나오지 않으며, Reading Value가 제 각각으로 나와서 사실상 해당 cable로는 통신이 어려웠다.
하지만 해당 케이블을 가지고 윈도우나 macOS상에서 Script를 실행하여 사용해본 결과, 윈도우와 macOS에서는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었다.


Windows 11에서 Python3 으로 구동하는 실기의 모습.
Windos 11와 macOS에는 아마 제대로 된 PL230x Driver가 올라 와 있지만, 어째서인지 RPI에서는 제대로 안된다.
아마 linux Kernel에 있는 Driver의 문제로 파악이 되어, 실제 wipi-netboot에서 요구하는 cable인 TrendNet 사 TU-S9 케이블을 구매하여 다시 진행을 하였다.

하단에 구매한 링크를 남겨둔다.

WIPI-Netbooter Manual에 배선 항목을 참조하여 케이블 연결을 하였다.
해당 Project Github 링크 이며, Manual 끝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

왼쪽이 Naomi2 Filter board / CN8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오른쪽이 TU-S9(USB TO RS232) 케이블 연결이다.
RS232와 함께 연결 후 Card Initializing에서 문제 없이 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후 제대로 Connection을 확인 한 뒤 Card Emulating Mode를 활성화 시켜, initial D에 Card Emulation이 가능 하게 되었다.
나머지 사진은 곧 올릴 예정이다.
추후에 WIPI-Netbooter에 설정에 대해서도 해당 포스트에 추가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