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BGP] 서브넷 나눠서 사용하기
리서치 겸 취미로 ISP를 조그마하게 운영을 하고 있는데, IP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삽질하던 내용을 정리 해 보았다. 이 글을 참조하면, 자신의 ISP를 만들어 집에서 나만의 IP를 직접 사용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경험 해 볼 수있다. 현 상황은 다음과 같다. Internet - V사 BGP Session - Wireguard(For
리서치 겸 취미로 ISP를 조그마하게 운영을 하고 있는데, IP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삽질하던 내용을 정리 해 보았다. 이 글을 참조하면, 자신의 ISP를 만들어 집에서 나만의 IP를 직접 사용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경험 해 볼 수있다. 현 상황은 다음과 같다. Internet - V사 BGP Session - Wireguard(For
일본인 친구들과 이야기 하다보니, VoIP로 WAN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프로젝트를 시작 해봤다. VoIP를 VPN을 묶어서 WAN으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 해보니, 이미 일본측에서는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한국쪽에서도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기 위해서, 디스코드 서버를 생성하였다. Korea-WAN-VoIP 먼저, 용어 정리를 해보고 시작하자. PBX : Private Branch Exchange 의 약자로,
Ubuntu를 사용하던 도중, sudo apt update 의 명령어를 사용했으나, 이러한 에러가 발생했다. ModuleNotfoundError : No module named 'apt_pkg' 라는 에러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해결방법은 cd /usr/lib/python3/dist-packages sudo ln -s apt_pkg.cpython-38-x86_64-linux-gnu.so apt_pkg.so 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최근에 Steam Account가 2FA를 사용해도 해킹을 당하는 일이 있어, 보안에 관심이 생겨 Yubikey를 하나 구입했다. Amazon.com에서 구매를 하였고, 해당 Hardware 키가 도착하여 리뷰를 작성한다. Yubikey Manager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OS상에서 사용할 Yubikey Manager를 다운받고 실행한다. Yubikey 5C NFC를 구매하였으므로, 해당 제품의 정보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Application -&
이번에 사내 PXE를 갈아 엎으려고 최근에 진행 해본 Project이다. VM상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먼저 PXE는 tftp, dhcp , apache(option임)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tftp-hpa,tftpd-hpa (pxe 파일 전송시 필요) * isc-dhcpd-server(pxe client에서 ip통신을 할 수 있도록 ip를 할당) * apache2 (역시 파일 전송 및 autoinstall file 배포시 사용) * nfs (nfs도 역시 파일 전송을
먼저, 해당 프로젝트는 kawaii-beer의 프로젝트 중 발췌함. NAS에 docker를 설치하여, 해당 컨테이너를 VPN을 통하여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할 생각이다. 그래서 찾아본 방법이 vpn컨테이너와 service 컨테이너를 따로 둬서 service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모든 traffic은 vpn컨테이너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생각했다. 예시로 사용한 Service는 minIO이다. (망분리(?)) 그래서 사용한 image는 다음과
예전에 오피스 케이드를 시작 했 을때, 제일 먼저 가져온 기계가 이니셜 D 아케이드 3 1조였다. 그 당일에도 설치하면서 1조를 멀티플레이 할 수 있게 묶느라 개 고생했던걸 기억하는데, 이제는 카드 리더기가 사용하고 싶어서 initial D Arcade 3 전용 정품 공 카드를 구했다. 다만, 아쉽게도 내가 가져온 장비는 Card Reader가 고장이 난
먼저, 시작하기 전에 여차 저차 해서 BEMANI 시리즈 게임 중 하나인 Jubeat의 기체를 구매하게 되었다.(방법은 묻지 말 것) 해당 기체를 구매 하고 전원을 인가 해 보니 Router와 Main Server의 통신이 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임을 구동 할 수 없다고 표시가 되었다. (아쉽게도, 해당 오류를 찍어둔 사진이 없다) 그래서 해당 캐비넷을
해당 칩셋이 들어있는 USB 3.2 SSD NVMe Enclosure를 구매를 했다. 제품명은 Orico USB 3.2 SSD Enclosure "M2PAC3-G20" - Coupang 2TB 짜리 SSD 를 꽂아 넣었는데도 불구하고, Disk가 Format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 삽질 하던 도중 생각난게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면 되지 않을까?? Firmware + Update Tool 라는 생각으로
B450M Mortar MAX메인보드에 NVME를 RAID 0로 묶어서 쓸 수있다고 하며, 연구하는 도중에 일어난 일을 대충 정리하는 포스트이다. 아무도 안써둬서서 삽질 후 내가 쓴다 BIOS상에서 AHCI모드를 NVME로 돌린 후 윈도우를 설치 하게 되는데, 이때 윈도우상에서 RAID를 못 불러오면서 설치가 안되는것이 보인다. OS Driver 여기에서 윈도우용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 ├── AMD NVMe_SATA RAID
먼저 시놀로지에 Disk Error가 발생하여, 확인을 해 보니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PC에 물려서 Crystal Disk Info를 이용하여 보니, 전혀 문제도 없는 하드디스크였다. 대충 보니 IO Error가 로그에 찍혀져 있으며, 아마도 구린 RC를 사용하여 ERROR Count가 상승 한 것으로 보인다. 대충 인터넷에서 찾아본 결과, 시놀로지에서 DB에 IO Error Count가 일정
Preboot eXcution Enviroment라고 하는 환경이다. 아직은 연구중이라 글이 완벽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데이터센터 같은데서 여러서버에 OS 를 배포할 때 사용하거나 기업에서 OS를 배포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기본적으로 Network로 부팅을 진행할 때 사용한다. 여러분들이 PXE를 어딘가에서 봤다면 PC방에서 노하드 시스템을 사용하는곳을 보면 PXE로 부팅 하는 것을 볼 수있다. PXE는 dhcp와
사내에서 사용할 PXE서버가 있어서, 거기에 추가적으로 ubuntu를 추가를 했다. 먼저 ubuntu iso를 mount 시켜서 안에 있는 모든 파일 (.disk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복사를 해야한다.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pxe부팅을 할 때, .disk 디렉터리 안에서 파일을 같이 긁어오기에, 통째로 긁어오면 된다. mount -o loop ubuntu_18.04.6_blabla.iso /mnt/iso cp -r
저번 글에 이어서, Frontend에서 backend로 요청하다가 생각난 부분인데, 이걸 따로 어떻게 이름을 지어야 할 지 몰라서, 대충 지어뒀다. 설명을 하자면, frontend에서 하드코딩으로 backend에다 요청을 한다면, 그 주소밖에 사용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이 프로덕션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도메인이 있다면, 그냥 하드코딩을 해도 좋지만, 내 경우는 도커에서 돌아가기에, 그 도커 웹서버의 IP가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Flask로 개발을 진행하였고, Flask의 내장되어있는 webserver는 Production 환경에서 사용하지말라고 하여, gunicorn과 Nginx의 Reverse Proxy 를 사용하여, 구축을 해보았다. 다만, 실제로 프로덕션에서는 Gunicorn과 Nginx사이에서는 Socket통신을 하여야 하지만, 이 포스트에서는 그 방법이 아닌, Reverse Proxy로 처리를 하였다. 시작하기전에, Project Folder는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되어있다. ├── README.KR.md ├── README.md
일단 고객사에 있는 VM을 생성하면서 PCIe를 Passthough를 하면서 발생한 오류였다. 정확한 오류는 internal error: qemu unexpectedly closed the monitor: XXXXX qemu-system-x86_64: -device vfio-pci,host=XXXX:XX:XX.X,id=hostdev0,bus=pci.0,addr=0x3: vfio XXXX:XX:XX.X: group 0 is not viable Please ensure all devices
Python에서 Bcrpyt를 사용하면서, 여러가지 오류를 겪었으나, 간단하게 정리했다. Invalid Salt DB에 Insert할때, Front End단에서 가져온 Value를 bcrypt로 Hashing처리를 한뒤, 해당 Hashed Password를 Insert할 때, utf-8로 encode 된 녀석을 decode로 풀어서 DB에 저장해야한다. 이부분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Invalid Salt가 발생하며, 내가 저지른 실수를 확인해 봤더니 Input Password와 target(DB)password의 위치를
urllib.error.URLError: <urlopen error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777)> MacOS에서 Python을 사용하다가 Certificate Error가 날때는 다음을 실행하여, Local Certificate 를 업데이트 시켜준다. /Applications/Python3.x/Install Certificate.command 를 찾아서 실행 시켜주면 해당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개요 LAMP스택으로 돌아가는 Cloud Instance 가 하나 있어서, "리소스도 얼마 안먹는데 블로그나 한번 더 운용해볼까" 해서 만들게 된 계기로, Ubuntu 20.04 LTS + Apache2 + PHP 7.3 + Mysql으로 돌리고 있는 서버를, 재활용 하자라는 생각이 나서 만들어 봤습니다. Apache와 같이 동작이 가능한가? 네. 가능합니다. 충분히요 Apache + php + mysql조합으로만 웹을
새 블로그를 시작합니다!